본문 바로가기

기독교교육학19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신학(1) 1. 교육신학이란? '교육신학'이란 무엇인가? 용어의 뜻으로 볼 때 교육신학은 교육이라는 낱말과 신학이라는 낱말의 결합어이다. 교육신학은 기독교공동체를 교육의 장으로 삼고 교육의 구조와 교육과정 사이에서 일어나는 관계를 신학적, 교육학적 관점에서 성찰하며, 인간 지식, 지혜, 바람직한 자질을 육성함으로써 인간을 발달시키는 지적 활동이다. 넬스 페레(Nels F. S. Ferre')에 따르면 “교육신학이란 기독교적 진리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는 사명의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교육신학'이라는 학명은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그의 문화신학」(Theology of Culture, 1959)에서 처음 사용하였고, 이 용어를 처음으로 전용화 한학자는 넬스 페레가 그의 책 기독교교육을 위한 신학 (A Th.. 2023. 6. 27.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9) 3) 세속과 대면한 혼돈과 분열의 '타협' (1946-1969) 해방 후 주일학교 교육은 타성에 젖어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다. 주일학교 교육에 대한 20~30년대의 거교회적 기대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많은 기독교교육 학자들이 등장했으나 교회가 해야 할 선교사명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채 미국교육을 다소 변형시키는 데 그쳤다. 교육자들은 교단 교육진흥에만 골몰한 채 범교단적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힘쓰지 않았다. 연합기관도 과제해결보다 교단을 안배하는 인사에 관심을 두었다. 교회는 신사참배에 참가한 진영과 거부한 쪽으로 갈라졌다. 진보의 김재준과 보수의 박형룡의 논쟁으로 기장과 예장은 1953년 분열되고 말았다. 또한 신유은사와 방언과 같은 신비주의운동이 발생했다. 한편 진보의 기독교장로회는 하나님의 선.. 2023. 6. 27.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8) 8. 한국 기독교교육사 1884년에 개신교가 한국에 전래된 이래 한국의 기독교교육은 도전과 응전의 ‘전(前) 학문 여명기', 겨레와 교회의 자유를 위한 '대결기', 세속성 대 복음성의 타협기', 자기 확립의 '정체성 추구 발전기' 등의 형태로 흘러왔다. 1) 도전과 응전의 '전(前)학문 여명기' (1884-1919) 1882년 김청송은 인쇄식자공으로 성경인쇄에 참여하여 중국 간도한인촌에서 신앙공동체를 형성했다. 같은 해 3월 로스에게 세례 받고 28개 한인마을을 순회하며 75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1885년에 학교를 설립했는데 그것이 민족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884년 입국한 알렌은 포교 목적으로 병원과 학교를 활용했다. 1885년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한국에 오면서 기독교교육은 시작되었다. 기독교학.. 2023. 6. 27.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7) 4) 통전적인 프락시스 기독교교육 통전적 프락시스 관점에서 보는 기독교교육은 세계 개혁교회가 전통으로 삼고 있는 5가지 교육적 접근, 곧 성경 토대, 역사 고려, 에큐메니칼 노선 견지, 사회참여, 공동체의 양육 등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생명과 섬김 가운데 어느 한쪽에 치우침으로써 원리주의, 배타주의, 영지주의, 신비주의, 인본주의 등에 빠지지 않는다. 신학토대는 하나님의 주권과 세계를 재창조하시는 말씀의 초월성을 재발견하고, 애굽탈출과 예언전승, 예수 그리스도의 해방신앙을 담아내는 바르트(Barth)의 '하나님 말씀의 신학', 딜타이(Dilthey), 쉴라이에르마허(Schleiermacher), 에벨링(Ebeling) 등의 해석학적 신학', 화이트헤드(Whitehead), 핫숀(Hartshorne),.. 202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