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교육학19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6) 3) 교회 중심 신정통주의 기독교교육 1930년대에 시작된 고전적 형태의 기독교교육은 스미스(Smith), 밀러(Miller), 스마트(Smart), 하우(Howe), 헌터(Hunter) 등이 주도했다. 현대적 형태의 기독교교육으로는 교회를 중심으로 전통과의 연속성 유지하는 데 강조점을 두는 넬슨(Nelson)과 웨스터호프 3세(Westerhoff III)와 다익스트라(Dyckstra), 전통형태와 불연속성 요소를 강조하여 진보형태를 띠는 와이코프(Wyckoff)와 리틀(Little)과 컬리(Cully) 등이 있다. 교육방법은 밀러(Miller), 하우(Howe), 헌터(Hunter) 등의 관계강화법과, 스마트(Smart) 등의 참여 고취법 등이 있는데, 이 모든 교육방식은 신학적 해석구조 안에서 형성된.. 2023. 6. 27.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5) 7. 20세기 기독교교육 일반교육과 본격적으로 대화한 20세기 기독교교육은 보이스(Boys, 1989)의 관찰처럼 보수성향 복음주의 입장, 진보성향 실존주의 관점, 교회 중심 신정통주의 관점, 통전적 프락시스 관점의 기독교교육 등 네 갈래로 발전해 나갔다. 1) 보수성향 복음주의 기독교교육 보수성향 기독교교육은 에드워드(Edwards, 1703-1758)와 웨슬리(Wesley, 1703-1791)의 뒤를 이어 레익스(Raikes, 1735-1811)와 무디(Moody, 1837-1899), 그래함(Graham, 1918) 등이 계승했다. 복음주의 신학자로서 마덴(Marsden), 파커(Packer), 바(Bar), 샌디 (Sandee) 등이 있다. 그 사상의 요지는 성서 무오설, 동정녀 탄생, 대속적 죽.. 2023. 6. 27.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4) 6. 근대 17~19세기 기독교교육 17~19세기는 근대 자본주의가 성립되고, 계몽주의가 유럽을 휩쓸던 합리적 이성의 시대였다. 산업혁명은 종래의 지주, 소작, 귀족과 평민이라는 사회의 이원구조를 깨뜨렸다. 정적 사회가 동적 사회로 바뀐 셈이다. 1000년간 기독교교권 지배 아래 있던 교육환경, 사회경제 체제가 산업혁명으로 와해되자, 정적 사회에선 계급유지를 위해심부름 역을 하던 교육이, 동적 사회에선 출신성분이나 계급이 아니라 능력에 따라 대우받게 되자 중산층 계급이 형성되었다. 교육주도권이 세속사회로 넘겨져 교회와 연결된 전통학교, 부유층을 위한 사립학교, 자선학교 등 세 종류의 학교가 개설되었다. 교회수호를 위해 정통주의, 경건주의, 합리주의 교육 등 세 종류의 움직임이나타났다. 정통주의는 전통을 .. 2023. 6. 27.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교육학의 역사(3) 5. 종교개혁시대 기독교교육 종교개혁 기는 지방국가 발생, 자본주의 경제의 부상,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 농부들의 자신감 발달, 전 영역의 문화번영 등 그야말로 변혁기였다. 한편 학문은 경시되고, 미신이 팽배하며, 신분은 귀족, 승려, 농민 등으로 차별화되었다. 귀족과 승려는 소수였고, 자유농, 반자유농, 농노 등으로 이루어진 농민은 다수였다. 나머지는 수공업자, 상인, 법률가, 사무원 등 중산계층이었다. 농노는 새벽부터 밤까지 일만 하고, 짚 위에서 잠자며, 의료혜택마저도 없었다. '신성 로마제국' 이라는 국립교회는 영성계발을 소홀히 한 채 권력과 유착했다. 그리고 각종 세금을 수탈하고 포탈했다. 또한 자선행위로 구원 얻는다며 면죄부까지 판매했다. 수많은 토지를 교회소유지로 돌렸다. 사제 임직시 1년분.. 2023. 6. 27.